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블록체인 실습

(2)
파이썬으로 이해해보는 블록체인 마이닝 구조 블록체인 생성 및 마이닝 구조를 이해해보기 위해 파이썬으로 구현해 보았다. 간단하게 블록체인에 대한 설명하고 블록체인 마이닝 구조를 소스 코드를 통해 따라하며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보았다. 블록체인은 블록의 연결이다. 블록이 사슬처럼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블록체인이라고 부른다. 첫 번째 블록은 제네시스 블록이라고 부른다. 제네시스 블록은 이전 블록이 없는 블록이다. 두 번째 블록부터는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저장한다.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저장하는 이유는 블록의 무결성을 검증하기 위해서이다. 해시값은 블록의 데이터와 이전 블록의 해시값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블록의 데이터가 변경되면 해시값도 변경된다. 따라서 해시값이 변경되었다는 것은 무결성이 깨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해시값을 계산하는 알고리즘은 블록체인..
블록체인이란? '블록체인(Block chain)' 이름만 살펴보면 무언가 블록(Block)이 사슬(Chain)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이라고 직관적으로 이해해 볼 수 있다. 실제로 블록체인에서 블록에는 각 블록체인에서 설정한 속성에 따른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고, 블록은 이전 블록과 연결되어 있다.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는 여러 당사자가 안전하고 투명한 방식으로 트랜잭션을 기록하고 확인할 수 있는 분산형 디지털 원장 기술이다. 블록체인은 암호학 알고리즘을 통해서 데이터를 담은 블록으로 만들고, 각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여 저장하는 기술이다.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에서 기본적으로 데이터를 분산 처리하는 구조는 비슷하지만 세부적으로 블록 생성, 블록 데이터, 증명 방식 등에서 차이가 있다. 블록체인의 동작 구조에서는 해시값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