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44) 썸네일형 리스트형 Git 체리픽(Cherry-pick)이란 무엇이고 언제 써야되는걸까? 🍒 Git cherry-pick 이란?📌 cherry-pick 개념git cherry-pick은 특정 커밋만 선택해서 현재 브랜치에 적용하는 Git 명령어입니다.즉, 다른 브랜치에서 특정 커밋만 가져와서 반영할 때 사용합니다.💡 예를 들어:feature/ABC-123 브랜치에서 B 브랜치로 가야 할 코드를 실수로 작업한 경우,git cherry-pick을 사용하면 특정 커밋만 B 브랜치에 가져올 수 있습니다.📌 cherry-pick을 쓰는 이유보통 Git에서 특정 브랜치의 코드를 가져오는 방법은 merge 또는 rebase 가 있습니다.하지만 merge나 rebase를 하면 전체 변경 사항이 반영됩니다.그렇다면...✅ "특정 커밋만 가져오고 싶다면?"➡️ 이때 git cherry-pick을 사용하.. Git - A 브랜치에서 작업한 코드를 B 브랜치로 이동하기 개발을 하면서 어떤 구현을 완료하였는데 알고보니 다른 브랜치에서 작업한 경우. 그리고 다른 브랜치는 최신 코드가 아니어서 업데이트를 해야되는 경우. 이런 경우에서 Git 작업을 어떻게 해야되는지 정리해보았습니다.📌 상황 정리우리는 B 브랜치 (feature/BBB-22344)에 코드를 올려야 합니다.하지만 실수로 A 브랜치 (feature/AAA-11233)에서 작업을 진행했습니다.또한, B 브랜치는 A 브랜치에서 생성되었으며, A 브랜치의 최신 코드도 함께 업데이트해야 합니다.즉,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현재 A 브랜치에서 작업한 코드를 B 브랜치로 옮긴다.B 브랜치가 A 브랜치의 최신 코드도 반영하도록 한다.최종적으로 B 브랜치에 Push한다.⚠️ 발생한 문제 및 해결 방법🔴 문제 1: 원격 브랜.. git add 와 git commit의 역할과 차이점 Git을 사용하다 보면 git add 와 git commit 을 자주 사용하게 됩니다.이 두 명령어는 각각 다른 역할을 하며, Git의 저장 방식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 git add란? ✅ "변경된 파일을 스테이징(Staging Area)에 올리는 작업"즉, 현재 작업한 변경 사항을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입니다. 📌 예제: 파일 추가 후 git add 실행echo "Hello Git" > hello.txt # 파일 생성git status # 변경된 파일 확인git add hello.txt # 스테이징git status # 스테이징 된 파일 확인git status 를 실행하면 "Changes to be committed" 상태가 됩니다. ✅ git add를 하면 변.. 이전 1 2 3 4 ··· 15 다음 목록 더보기